
장군산/전남.광주 21:17:14
□ 시간: □장소:삼방골삼인산만남재투구봉병풍산정자봉대방저수지성정 □초산악회 □참가 : 햇볕 00, 나 □ 걷는 데 걸린 시간: 11:1416:13⇒4시간 59분(휴식 시간 포함) (기입이 기준이므로, 각각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) □ 일어나다 이 기사에서 쓰는 단어 [용어]는 [는] 다음과 같습니다. ○삼각점의 도표→「삼각」으로 줄입니다[약기] ○도석→「도석」으로 줄여두자[약기] ○한국 400산행기, 등산로 안내, 김현수, 깊은 브러쉬 → 김현수로 줄인다 [약기] ○국제신문지도→「국제」로 줄인다[약기]] ○「솔레야 박근석」표지→「박근석」으로 줄인다[약기] ○ 준희 표지 → 준희로 줄입니다. ○ 부호는 이렇게 썼다. △:예) 병풍산(旗大峰)은 병풍산 또는 병풍산의 깃대봉으로, 산등성은 산등성, 혹은 산등성이로 가 없는 의미 또는 의 어떤 의미를 아울러 표기하거나 한글 뒤에 한자를 쓴다. ※다만, 삼인산(564m「도돌」)과 같이 산명 뒤에 있는 문장은 삼인산이 564m이며, 이 높이 소스는 도석이라는 의미를 나타낸 것으로, 전례로 부호를 쓰는 방법과는 다르다. △: 예) 투구봉[신선대]→‘투구봉’ 또는 ‘신선대’에서 산길[림도]은 ‘산도’ 또는 ‘림도’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로, 둘을 함께 쓰거나밖에는 간단한 한글 말,안은 어려운 한자의 말을 함께 사용할 때를 나타낸다. △「」:도표명이나 점명 등을 쓸 때는 「」안에 쓴다. △〈〉:괄호 안은 초말, 예 송신소〈등산로 없음〉「송신소가 있지만 등산로는 없다」라는 의미이다. □ 간결한 발자국(문장이 기준이므로 각각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) ○11:14 삼방골 나삼 ○11:~12:05 삼인산(564m「도돌」), 멜메 ○12:2912:55 삼인산 쉼터(433m「국제」), 점심 ○13:0913:15 564m 피크(“국제”), 삼각점(댐양 462, 1981 재설), 멜멜 ○13:만 남재, 매점 ○14:04 투구봉 갈라진 길
삼방골산행
산린 산을 올라가면서 돌아본 넓은 밭
산린산을 오르면서 본 병풍산 등성
산린산에서 본 풍경
삼인산
밭 뒤에 무등산이 보인다 산린산에서
산린산에서
멀리 추월 산이 보인다 산린산에서
산린산에서 본 풍경
삼인산에서 본 투구봉 [신선대], 병풍산(기대봉)
삼인산
산린 산에서 본 추월 산 뒤에 검게 보이는 산 등반
산린산에서 본 풍경
삼인산에서 본 투구봉 [신선대], 병풍 산 (플래그 데본) 산 등반
산린산에서 본 풍경
삼인산
삼인산
삼인산에서 본 무등산
산린 산에서 아키즈키 산을 배경으로 ...
산린 산에서 본 추월 산
산린산에서 본 풍경
산린산에서 본 풍경
산린산에서 본 풍경
산린산에서 본 병풍지맥에 속하는 멋진 화산[불태산]
산인산에서 산인산의 대피소로가는 길을 바라본 풍경
삼인산에서 삼인산 피난처로 가는 길 불대산[불태산]
산린산 피난처(433m)
산린산 피난소(433m) 여기서 사람이 앉아있는 돌 오른쪽으로 올라가면 564m 피크로 올라갈 수 있고, 만남의 옆의 오른쪽으로의 길은 산길 [림도]로서 만남을 향하는 지름길입니다.
산린산 피난처(433m)
564m 피크에서 돌아본 삼인산
564m 피크에서 돌아본 무등산
564m 피크에서 만남을 향하는 도중에
564m 피크에서 만남을 향하는 길
만남
만남의 재료를 올려다 본 투구봉 [신성대] 측
만남
만남
만남
올려다본 투구봉 [신선대]
투구봉에서 건너온 병풍산(기대봉)
피칭 배트 [신선한 대형]
피칭 배트 [신선한 대형]
투구봉에서 건너온 병풍산(기대봉)
투구봉[신선대]에서 본 불대산[불태산]
투구봉 [신선대]에서 본 필드와 불대산[불태산](오른쪽)
투구봉 [신선대]에서 본 무등산
투구봉 [신선대]에서 본 삼인산과 564 피크 (왼쪽에서 오른쪽으로), 무등산
투구봉 [신선대]에서 본 풍경
兜口峰[신선대]에서 바라본 병풍산(깃대봉)
兜口峰[기다미네]에서 본 화산[불태산] 왼쪽
투구봉에서 본 삼인산, 564m 피크, 무등산
투구봉의 분기로에서 본 풍경
투구봉의 분기로에서 본 풍경
투구봉 나눔길(투구봉에서 임풍산으로 가는 길)
806m의 그릇을 되돌아 본 투구봉 그 후, 불대산[불태산]
806m 피크
806m 볼리에서 본 병풍산 쪽
806m의 피크에서 본 삼인산과 564m 피크, 그런 다음 무등산
병풍산(플래그 데본)에서 되돌아온 투구봉 불대산[불태산]
스크린 마운틴
스크린 마운틴
병풍산에서 본 삼인산과 564m 피크, 무등산
병풍산에서 본 아마코미네[玉女峰]측
스크린 마운틴
스크린 마운틴
스크린 마운틴
병풍산에서 본 풍경
병풍산에서 본 산린 산과 그런 다음 무등산
병풍산을 나와 아마코미네[옥수봉]을 향해 돌아보았다 병풍산과 불대산[불태산]
병풍산에서 천자봉으로 가는 길
천자봉을 향해 돌아보았다 병풍산과 불대산[불태산]
병풍산을 나와 천자봉 [옥옥]을 향해 바라보았다 삼인산과 무등산
텐시미네에서 되돌아온 병풍산
정자봉에서 본 들판과 무등산
정자봉[玉女峰]에서 본 삼인산과 무등산
정자봉 [옥수대]
정자봉 [옥수대]
정자봉 [옥봉]을 되돌아보았다 병풍산과 불대산[불태산](뒤 왼쪽)
천자봉에서 바라본 용궁산[왕벽산], 거기 내리고 싶었는데...
용궁산[왕벽산]에 이어 산등성
정자봉에서 본 삼인산과 564m 피크
천자봉 측에서 본 용궁산 [왕벽산]
천자봉 쪽에서 되돌아 본 병풍산 쪽
정자봉 측에서 돌아보았다 불대산[불태산](중앙), 병풍산(오른쪽)
천자봉을 나와 대방 저수지로 향하는 길 전망대에서 무등산을 배경으로 ...
대방저수지로 향하는 도중에 왼쪽 [동쪽]으로 보이는 용궁산 [왕벽산]과 그 산 등반
대방 저수지를 향해 내려다 보이는 밭과 마을
밭을 넘어 무등산(오른쪽)
오타 저수지를 향해 내려 본 무등산과 삼인산
3. 이번 구간 식물 ※이 구간에 있던 나무와 잔디 속에서 내가 이름을 알고 있는 것만이 줄지어 있었다. 가을. 나무를 나누다 ※이 구간에 많이 있었던 식물: 소나무[참솔], 야마나기나무, 싱갈목, 오크나무, 표백 ○녹목과 분기:히목의 나무 ○ 단풍나무와 분기 : 단풍나무 ○타쿠마의 나무와 분기:타마고의 나무 ○물나무와 분기:물나무, 쥐나무 ○크레스트와 분기:조림 ○ 소나무와 분기 : 소나무 [잠솔, 육성], 리기다 소나무 ○운향과 분기:초피의 나무 ○ 장미와 분기 : 벚꽃, 나무의 나무, 산의 열매의 나무, 자수 나무, 국수의 나무 ○ 진달래와 분기 : 진달래, 진달래 ○ 오크 나무와 분기 : 싱가르 나무, 오크 나무, 오크 나무, 오크 나무, 밤나무 ○측 백목과 분기:노골 이루는, 표백 ○콩과 분기:사리 ○협착도와 분기:마삭 라인 B. 수영장으로 이동합니다. ○란과 분기:호춘 꽃[봄 계란] ○ 마름모와 분기 : 소 무릎 【소 무릎 패, 소 무릎 (소 무릎) ○ 양치질 식물 고사리와 분기 : 고사리 4. 옷차림 ○T셔츠:콜론 스포츠 블랙 겨울 T셔츠 ○팬츠:콜론 스포츠 겨울 팬츠 ○ 정장 [재킷] : 코롱 스포츠 겨울 정장 [재킷] 준비해 갔지만 걸을 때는 입지 않았다. ○ 팬티, 러닝 셔츠: 콜론 스포츠 팬티, 콜론 스포츠 소매 없음 러닝 셔츠 ○모자:콜론 스포츠 창모(rowing cap) ○장갑:면장갑 ○목걸이:콜론 스포츠 목걸이 5. 기타 장비 ○배낭: 도이터 38ℓ ○신발:트렉스 타코멘더 고어텍스 GTX(Treksta Commander Goretex) 지티엑스(GTX) ○지팡이:레키 2개 6. 식품 ○보온 밥솥 ○반찬 1통 ○국가 1통(보온통) ○따뜻한 물 2통(대추차 첨부, 보온 버킷) ○밀감
'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태안일몰 - 서해 바다의 일몰을 보는 겨울 태안 여행 (1) | 2025.03.01 |
---|---|
남산데이트코스 - 남산 미식가 한국 N 서울 타워점 코스 요리 남산 타워 데이트 야경 아트 (2) | 2025.03.01 |
울산데이트코스 - 울산 데이트 코스 음식 "마왕 다이닝" 스시 오마카세 음식 (0) | 2025.03.01 |
이천데이트코스 - 이천 데이트 코스에 추천하는 시내 와인 바 채팅 그루브 (1) | 2025.03.01 |
군산먹거리 -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/공급식 군산후드 통합지원센터 (0) | 2025.02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