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여행

아랄 해 기록물 군 - [호기심]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(아시아중동 제외)

by travel-map-guide 2025. 3. 7.
반응형
아랄 해 기록물 군

이 지역의 기록유산 중 특히 인상 깊은 것은 카자흐스탄의 국제반핵운동단체 네바다세미팔라틴스크 컬렉션(Audiovisual documents of the International antinuclear movement “NevadaSemipalatinsk”)”(2005년 등재)입니다. 이 기록은 세미팔라틴스크 폴리곤(Semipalatinsk Polygon)이었던 핵무기 실험을 종결시킨 국제반핵운동(IMA) 단체 네바다세미파라틴스크(NevadaSemipalatinsk)의 활동에 관한 문헌을 모은 단일 컬렉션입니다. 구 소련은 부터 40년 이상 카자흐스탄의 초원을 핵실험, 우라늄 처리 센터, 핵폐기물의 매립지 등으로 사용했습니다 260 만 명의 사람들이 지속적인 방사능에 노출되어 유전자 돌연변이의 희생자가 되었다고 합니다. 라고 말했다. 별도 공동 등록을 보면 총 8 건으로, 2003년에 등록된 <네덜란드 동인도회사 기록보관소[Archives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]>는 네덜란드, 인도, 인도네시아, 남아프리카 공화국, 스리랑카 공동 보유, 2011년에 등재된 「라 갈리고」가 인도네시아, 네덜란드 공동 보유, 2013년에 등재된 「버버드 디포네고로」 [ Babad Diponegoro or Autobiographical Chronicle of Prince Diponegoro (55). A Javanese nobleman, Indonesian national hero and panIslamist ]> 역시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 공동 보유,

 

2015년에 등록된 <버마의 알라운파야 왕이 영국의 조지 2세로 보낸 황금 편지 [The Golden Letter of the Burmese King Alaungphaya to King George II of Great Britain]>는 독일, 영국, 미얀마 공동 보유, 2017년에 등재된 ‘청시의 마카오 공식 기록물’은 포르투갈과 중국 공동 보유, 2017년에 등재된 「골판지 이야기 필사본」은 인도네시아, 네덜란드, 말레이시아, 영국이 공동 보유, 2017년에 등재된 <인도양의 해일 관련 기록물[The Indian Ocean Tsunami Archives]>은 스리랑카, 인도네시아 공동 보유, 2017년에 등록된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[Documents on Joseon Tongsinsa/Chosen Tsushinshi] 17세기19세기 한일간의 평화 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>는 한국과 일본이 공동 보유하고 있습니다. 다음은 중동 지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 중 세계 기록 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20개국과 세계 기록 유산입니다. ◆네팔(2종) (2013년 등재) 「니스바사토바산히타」필사본:야자나무의 잎에 필사의 의학서 (2013년 등재) “스슈르타 선히타”(사호타르 탕가라) ◆동티모르(1종) (2013년 등재) 국가의 탄생에 대해:전환점 [On the Birth of a Nation : Turning points] ◆말레이시아(5종) (2001년 등재) 히카야트 한투아 [Hikayat Hang Tuah] : 한투아라는 무라카 왕국 출신의 영웅 서사시 (2001년 등재) 세자라 멜라유(말레이 연대기) [Sejarah Melayu(The Malay Annals)]

 

◆베트남(3종) (2009년 등재) 황왕조의 목판 [Woodblocks of Nguyen Dynasty] (2011년 등재) 레왕조와 막왕조의 과거시험 관련 슬라브 기록 (2017년 등재) 응우엔 왕조의 황실 기록물(45) [Imperial Archives of Nguyen Dynasty (45)]

 

◆스리랑카(2종) (2003)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기록 보관소 [Archives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] (2017년 등재) 인도양의 해일 관련 기록물 [The Indian Ocean Tsunami Archives] ◆우즈베키스탄(3종) (1997년 등재) 오스만의 무스하프 꾸란 [Holy Koran Mushaf of Othman] (1997년 등재) 알비르니 동양학 연구소의 컬렉션 [The Collection of the AlBiruni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] (2017년 등재) 히바칸국의 관청 기록물 [Archives of the Chancellery of Khiva Khans] ◆인도(9종) (1997년 등재) 타밀 의학 자료 필사 컬렉션 [The I.A.S. Tamil Medical Manuscripts Collection] (2003년 등재)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기록 보관소 [Archives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] (2005년 등재) 폰디셰리 프랑스 연구소에 소장된 필사본 [Saiva Manuscript in Pondicherry] : 힌두신 시바 숭배와 종교에 관한 11,000점의 컬렉션 (2007년 등재) 리그베다 삼히타, 리그베다 삼히타파다파타, 리그베다 삼히타바샤 [Rigveda] (2011년 등재) 라즈후카라차크라탄트라자티카(비말라플롭) (2011년 등재) 타릭·에·칸단·에·팀리야 605) 등을 비롯한 이란과 인도를 다스린 티무르가의 후예에 관한 기록으로, 아크바르 재위 22년째에 제작된다

 

(2017년 등재) 보로부두르 사원 보존에 관한 기록물 [Borobudur Conservation Archives] (2017년 등재) 인도양의 해일 관련 기록물 [The Indian Ocean Tsunami Archives] (2017년 등재) 골판지 이야기 필사본 [Panji Tales Manuscripts] ◆일본(7종) (2011년 등재) 야마모토 작부 컬렉션[Sakubei Yamamoto Collection] (2013년 등재) 경장견 유럽사절의 유럽 방문 관련 자료(일본·스페인) [Materials Related to the Keichoera Mission to Europe Japan and Spain] 주가 스페인에 파견한 일본 사절단을 의미한다. (2013년 등재) 『미도세키 백기』:후지와라 도장, 7의 오리지널 직필 일기 [Midokanpakuki: the original handwritten diary of Fujiwara no Michinaga] (2015년 등재) 마이즈루항으로의 귀환 일본인 억류 및 송환에 관한 문서 (2015년 등재) 도지 백합 문서, 100개의 함에 보관된 「도지」의 기록물 (2017년 등재) 고대 코즈카국의 귀중한 비석

 

(2017년 등재)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[Documents on Joseon Tongsinsa/Chosen Tsushinshi] ◆중국(13종) (1997년 등재) 황제 내경 [Huang Di Nei Jing (Yellow Emperor’s Inner Canon), 황제 내경] (1997년 등재) 중국 전통 음악 녹음 기록물 [Chinese Traditional Music Sound Archive] (1999년 등재) 청왕 조내각 문서 「서양문화의 중국 침투」 (2003년 등재) 고대 배족 톰바 문헌 필사본 [Ancient Naxi Dongba Literature Manuscripts] (2005년 등재) 청왕조의 김류 [Golden Lists of the Qing Dynasty Imperial Examination] : 곧바로 (김류)란 과거 급부자의 이름을 써서 공시하는 노란 종이를 말한다. (2007년 등재) 청나라의 양식 뇌고문서 Qing Dynasty Yangshi Lei Archives (2011년 등재) 『혼초 강목』(약물 개요서) [Ben Cao Gang Mu (Compendium of Materia Medica), 혼초 강목] (2013년 등재) 원국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 [Official Records of Tibet from the Yuan Dynasty China, 67]

 

(2013년 등재) 후비와 인신(해외신), 해외로부터의 화교들이 보낸 편지와 문서 (2015년 등재) 난징대학살 기록물 [Documents of Nanjing Massacre] (2017년 등재) 중국의 갑골문 [Chinese OracleBone Inscriptions] (2017년 등재) 소주 실크에 관한 근현대 기록물 [The Archives of Suzhou Silk from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] (2017년 등재) 청국시의 마카오 공식 기록물 [Official Records of Macao During the Qing Dynasty (86)]

 

◆카자흐스탄(3종) (2003년 등재) 코자 아흐메드 야사위 필사본 컬렉션 [Collection of the manuscripts of Khoja Ahmed Yasawi]기록 (2005년 등재) 국제반핵운동단체 ‘네바다 세미파라틴스크’ 컬렉션(Audiovisual documents of the International antinuclear movement “NevadaSemipalatinsk”) (2011년 등재) 아랄해 기록물군 [Aral Sea Archival Fonds] ◆캄보디아(2종) (2009년 등재) 투올슬렌 학살박물관 기록물 [Tuol Sleng Genocide Museum Archives] (2017년 등재) 골판지 이야기 필사본 [Panji Tales Manuscripts] ◆태국(5종) (2003년에 등재) (2009년 등재) 출랄론 코른 국왕의 시암 개혁에 관한 고문 [Archival Documents of King Chulalongkorn’s Transformation of Siam (10)] (2011년 등재) 와트포 사원의 금석 기록물 [The Epigraphic Archives of Wat Pho] (2013년 등재) 시암소사에티이사회의록, 예술과 과학연구 및 지식보급을 위한 국제협력에 관한 100년간 기록

 

반응형